바로가기 메뉴
본문 바로가기
주메뉴 바로가기
포천시청소년재단  POCHEON-SI YOUTH FOUNDATION

이용안내

이용안내

개인상담 탭 내용 시작

  • 개인상담

    • “ 청소년의 고민! 상담전문 선생님이 1:1 개인면담을 통해 구체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! ”
    개인상담 안내 - 대상, 신청기간, 신청방법 내용으로 구성
    대 상 9세~ 24세 관내 청소년
    • 가족관계, 또래관계, 이성관계의 어려움이 있는 청소년
    • 학교생활 어려움, 학교폭력, 학업중단, 일탈행동을 보이는 청소년.
    • 성격, 정서(우울, 불안, 분노조절), 성 등의 고민이 있는 청소년
    • 진로 및 적성에 대해 고민하는 청소년
    신 청 기 간 연중 (매년 1월~12월)
    신 청 방 법 전화신청 및 내방신청 “031-533-1318”

심리검사 탭 내용 시작

  • 심리검사

    • “ 심리검사는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청소년들의 문제에 대한 진단과 평가를 돕는 활동을 말합니다. ”
    심리검사 안내 - 대상, 활동시기 내용으로 구성
    대 상 9세~ 24세 관내 청소년
    활 동 시 기 연중 (매년 2월~11월)
  • 일반심리검사

    • 개인이 신청하는 별도의 심리검사만은 진행되지 않습니다.
    • 상담 진행 중 내담자의 심리평가를 위해 전문상담자가 필요한 검사를 판단하여 진행합니다.
  • 찾아가는 집단심리검사

    • 관내 교육기관 및 청소년 관련 기관의 요청 시 찾아가는 집단심리검사를 진행합니다.
    • 신청서 접수
    • 신청기관에 검사지 전달, 검사실시
    • 신청기관에 검사결과지 배부
    • 신청기관에 찾아가는 집단심리검사 해석상담 1회기 진행

찾아가는 상담 탭 내용 시작

  • 찾아가는 상담

    • “ 청소년의 삶의 현장에 직접 찾아가 심리적·정서적 지지 및 전문적인 상담을 진행합니다! ”
    청소년동반자 (찾아가는 상담) 안내 - 대상, 이용방법, 진행방법, 상담 내용으로 구성
    대 상 9세~ 24세 관내 청소년
    이 용 방 법 개인접수신청 방문 및 전화신청, 온라인 신청
    기관접수신청 신청서 작성후 공문 신청 (전자문서 발송)
    신청서 다운로드 접수확인(031-540-6653, 6654)
    진 행 방 법
    1. 1. 상담신청
    2. 2. 사례배정
    3. 3. 상담진행
    4. 4. 상담종결
    상 담 주 1회 40분(초등), 45분(중등), 50분(고등이상) 진행 12회기 진행하며 필요시 연장가능

찾아가는 집단상담 탭 내용 시작

  • 찾아가는 집단상담

    • “ 청소년들이 활동하고 있는 현장에 상담전문가가 직접 찾아가 집단상담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! ”
    집단상담 및 교육 → 찾아가는 집단상담 안내 - 대상, 활동시기, 모집방법 내용으로 구성
    대 상 9세~ 24세 관내 청소년
    활 동 시 기 연중 (매년 2월~11월)
    모 집 방 법 신청서 접수 후 선착순 선발
  • 포천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대개 매 학기 초 미리 프로그램을 개설합니다!
    프로그램이 개설 된 후에는 학교 및 청소년관련기관, 홈페이지 등을 통해 홍보하고 있습니다!
    • 학교 및 Wee센터 등 교육기관 및
      청소년 관련 기관을 통해 신청
    • 상담교사 및 학교 실무자를 통해 신청
    • 센터 홈페이지 및 SNS 등을 보고 신청

찾아가는 부모교육 탭 내용 시작

  • 찾아가는 부모교육

    • “ 청소년에게 주요한 영향을 끼치는 보호자를 대상으로 관심 주제에 대해 전문적인 교육을 제공합니다. 직접 찾아가 청소년에 대해 이해 도모 및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내용을 진행합니다! ”
    찾아가는 부모교육 안내 - 대상, 활동시기, 모집방법 내용으로 구성
    대 상 관내 청소년(9~24세) 연령대 자녀를 둔 학부모 및 양육자
    활 동 시 기 연중 (매년 2월~11월)
    모 집 방 법 신청서 접수 후 교육 진행
  • 포천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부모교육은 홈페이지 및 학교, 청소년관련기관 등을 통해 홍보하고 있습니다!
    • 학교 및 Wee센터 등 교육기관 및
      청소년 관련 기관을 통해 신청
    • 상담교사 및 학교 실무자를 통해 신청
    • 센터 홈페이지 및 SNS 등을 보고 신청